-
【종합소득세】"종합소득세" 공문 세부 내역에 대하여 -2편【세금신고】 2020. 5. 4. 23:40반응형
2020/05/02 - [👍TAX] - [종합소득세] 1년사업의 정산 종합소득세에 대하여 -1편
(읽으시기 전, 해당 포스팅은 모바일 보다 PC로 보는 것이 적합합니다.)
안녕하세요
"입다"입니다!
오늘 저는 강원도 캠핑에서 돌아왔는데요,
물 좋고 공기 좋은 곳에서 보내다 오니,
후유증이 오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캠핑 포스팅도 차근차근 이어서 올려보도록 할게요!
오늘은 전 편에 이어 종합소득세 2편을 준비해봤는데요!
이 번에 다룰 주제는 종합소득세 공문 세부내역에 대하여입니다.
우선 현재 시점으로 많은 사업자 분들 혹은
프리랜서 분들께서 국세청으로부터
종합소득세 공문을 받아보셨을 거라 생각됩니다.
이번에 말씀드릴 주제가 바로 이 공문에 대하여입니다!
대부분의 세무대리인에게 전화를 하시면
이 공문에 대해서 먼저 수취여부를 여쭤볼 거예요!
"네 대표님 혹시 국세청 공문은 받으셨을까요?"
음..? 난 공문 못 받았는데...?
신고에 문제가 되는 건가.
사업장이 이전되어 전 주소로 간 것 같은데 어쩌지...
아무것도 이상이 되지 않습니다.
혹여나 공문을 분실하셨거나, 수취하지 못하신 분들은
홈텍스에서도 직접 검색이 가능합니다.
홈텍스_1 위 그림을 보시면
개인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신 후에
상단에 조회/발급 탭 중간에 위치한
세금 신고 납부 탭에 종합소득세 신고 도움 서비스를
누르시면 해결됩니다.
(여기서 사업장 인증서로 로그인하시면 해결되지 않으니 참고해주세요)
위 방법대로 신고 도움 서비스에 들어가시게 되면
2019년도로 귀속 연도를 맞추신 후에
2019년도 소득액 신고유형 등 여러 가지를 확인하실 수 있으세요!
Q. 종소세 공문이 왔는데 무슨 내용인 지 모르겠어요.
A. 표로 구분해서 알려드릴게요!
유형 설명 S, A, B, C 형 해당 유형은 복식기장 의무자로 기장을 꼭 하셔야 하는 분들 D, E 형 D형 : 기준경비율 E형 : 복수 소득이 있으신 분들 F, G, H 형 단순경비율 유형 T 형 2 이상의 근로소득이 있거나, 금융소득이 2,000만원 이상인 분 Q, R형 종교인 소득이 있으신 분 V 형 주택임대소득이 있으신 분 위 표를 보시면
첫 유형인 S A B C 형 즉, 복식기장 의무자가 되신 경우에는
세무사를 선임하여, 연 기장대리를 맡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경우에는 신고대리보다는 기장대리가 훨씬 유리할 수 있습니다.
기장대리 : 세무사를 선임하여 연 장부(재무제표)를 만들어 조정까지 해야 하는
복식기장 의무자분들이 이용하시는 세무사 서비스
신고대리 : 부가세, 종합소득세 등 특정 신고 시즌에만 이용하시는 분들로
대게 간편 장부 대상자분들이 이용하시는 세무사 서비스
두 번째 유형인 D, E형인 경우 기준경비율로 복식기장보다는 좀 더 쉬운
간편 장부로 신고를 하는 유형인데, 혼자 하시려면 홈텍스를 이용하거나
회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신고하시고
그게 어렵다면 세무사를 이용하시는 것이
절세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세 번째 유형인 F G H형인 단순경비율 유형은
사업이 초년일 경우, (프리랜서도 초년인 경우)에서 많이 발생되는데요.
위에 언급한 간편 장부 중에서도 단순경비율로 추계 신고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 경우는 납부서처럼 공문이 오기때문에
직접 전화 또는 세무서로 신고하셔도 됩니다.
나머지 T Q R V 형의 경우는 특수한 경우이기 때문에
별도로 이 번 포스팅에서는 언급하지 않을게요.
그렇다면 단순 경비율과 기준 경비율의 기준이 무엇일까요?
바로 매출 기준인데요, 정리해드릴게요
업종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도소매 6,000만원 이상 6,000만원 미만 제조업,건설업,음식점업 3,600만원 이상 3,600만원 미만 임대, 프리랜서,서비스업 2,400만원 이상 2,400만원 미만 이렇게 해당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은 각 업종별 연 매출금액으로 판가름 나게 됩니다.
이런 연 매출금액은 전년도 수입금액으로 판단하는데요
이번 2019년도 신고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그 전년도인 2018년도 연 매출에 상응해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도소매를 하고 계신 사업자분께서
2019년도 매출은 1억인데 2018년도 매출은 5,000만 원일 경우
이 사업자 분은 단순경비율에 해당하게 되시는 거죠
어렵지 않죠?
이런 기준경비율과 단순경비율은 모두 간편 장부에 해당하게 되는데요
두 경비율 모두 간편 장부를 작성해도 되지만,
추계신고를 할 수도 있습니다.
어려운 말 같으나 쉽게 말씀드릴게요
장부의 의무는 두 가지가 있으세요
간편 장부 or 복식기장
이 두 가지를 또 어떻게 구분하느냐
쉽게 표로 설명드릴게요
업종 간편장부 복식기장 도소매 3억원 미만 3억원 이상 제조업,건설업,음식점업 1억 5천만원 미만 1억 5천만원 이상 임대, 프리랜서,서비스업 7,500만원 미만 7,500만원 이상 한눈에 보기 편하시죠?
표로 보시는 게 직관적으로 더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볼게요
만약 2018년 연 매출을 기준으로 신고된 매출이
총 3억 5,000만 원인 도소매업자가 있다고 가정을 해보면
이 분은 복식기장 대상자가 되시는 겁니다
즉, 간편 장부냐 복식기장이냐
기준경비율이나 단순경비율이냐의 판단은
모두 직전 년도 수입금액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그럼 여기서 간편 장부로 판단이 됐다고 가정을 하면
복시 기장보다는 간편하게 장부를 작성하실 수가 있어요.
쉽게 말해 비용, 매출을 건건히 작성하지 않고
1년 토탈로 적을 수가 있는 거죠
복식기장 : 건별 상세내역이 존재해야 함
간편 장부 : 1년 금액이 통으로 들어감.
이라고 생각하시면 편한데요
이렇게 간편 장부를 작성해야할 때 이제 판단해야 할 문제가
간편장부를 작성하느냐 추계신고를 하느냐
의 문제에 직면하게 됩니다.
이 부분은 간단하게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비용이 얼마나 많니?
이게 가장 쉬운 이해 방법입니다.
비용이 얼마나 있느냐,
충분하냐 혹은 충분하지 못하냐의 문제예요
저희가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면서 가장 신경 쓰이는 것
가장 궁극적으로 목표하는 것은
바로 절세예요,
절대 탈세를 해서는 안되지만,
세법이 허용하는 한도선에서는 세금을 줄이려 하는 게
저희의 목표인 거죠
그 절세의 가장 큰 것이 비용이에요
사업적 비용
예를 들어볼게요,
2018년도 5,000만 원 매출
2019년도 10,000만 원 매출
인 도소매 사업자 분이 있다고 가정해볼게요
이 분의 경우에는 간편 장부 대상자이자, 단순경비율 대상자세요
이 분이 실제로 사용하신 사업적 비용이 만약
9,000만 원이 있다고 가정을 해볼게요
그럼 이 분의 연 순이익은 1,000만 원이 되겠죠?
그럼 1,000만 원에 해당되는 세율의 세금만 납부하시면 되세요
근데 만약 이 분이 사용하신 사업적 비용이
1,000만 원이 있다 라고 생각해볼게요.
그렇다면 이 분이 납부해야 하는 세율구간은
자그마치 9,000만 원이 되시겠죠?
이럴 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추계신고예요
추계 신고의 경우는 국세청에서 공시하는
기준 단순 경비율이 있는데요.
홈텍스_2 위 사진에서 처럼
조회/발급 -> 기타 조회 -> 기준 단순 경비율 탭에서 확인 가능하세요
해당 탭에 들어가시면 업종코드를 입력하게 되시는데요
해당 업종코드를 넣게 되면 그 업종코드에 해당하는
단순경비율 비율이 나와있어요,
예를 들어 70%라고 가정을 해볼게요
위 사업자 분이 실제로 사용하신 사업비용은 1,000만 원뿐이지만
이 분이 단순경비율로 추계신고를 하게 됐을 때는
10,000만 원 x 70% = 7,000만 원
즉, 7,000만 원의 경비처리를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럼 간편 장부를 작성했을 때는 9,000만 원의 순이익이 나지만
추계신고를 했을 때는 3,000만 원의 순이익만 잡히게 되어
보다 적은 세금을 납부하실 수 있다는 뜻이 됩니다!!!
엄청나죠?👀
그렇지만 이렇게 추계신고 시에 가산세가 나올 수도 있으니
공문상에 추계신고시 < 에 별도 글이 쓰여있는지 꼭 검토해보세요!
쉽게 설명드리려고 하다 보니,
서술이 길어진 것 같은데요
혹시나 이해가 안 되시거나 궁금하신 점은
댓글로 작성해주시면 답해드리겠습니다!
아무래도 글의 특성상
글이 많을 수밖에 없어서
보시기에 불편하실 수 있지만,
종합소득세에서 가장 궁금하시는 부분들을
보다 쉽게 , 직관적으로 설명해드리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한번 받아 보신 공문과 매출액을 비교해서
어떤 게 더 나은 선택인지 생각해보시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아요 :D
한번씩 해보시고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시길 바랄게요 👍👍
@IFDIETER 반응형'【세금신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가가치세】부가가치세 불공제되는 항목 그 두번째 이야기! (0) 2021.01.10 【부가가치세】부가가치세에서 비용처리 안되는 항목 첫 번째 이야기 (0) 2021.01.09 【부가가치세】2020년 2기 확정 부가세 연기에 우리가 준비해야 할 것! (0) 2021.01.01 【부가가치세】2020 2기 확정 부가세 신고 기한 연장!! (0) 2020.12.31 【종합소득세】1년 사업의 정산 "종합소득세"에 대하여 -1편 (4) 2020.05.02